
영화 ‘신의 한수: 귀수편’에서 놀라운 존재감을 보여준 이가 있다. 극 중 권상우의 아역을 맡았던 신예 박상훈, 더 놀라운 건 이제 겨우 15살이라는 점이다.
“연기를 선택하지 않았다면 아마 저도 다른 아이들처럼 진로를 정하지 못해서 우왕좌왕했을 거예요. 진로가 확고해지면 그런 면에서 좋은 것 같아요. 스케줄이야 빡빡해도 현장에 가면 마음이 편안해지고, 시간도 빨리 가서 즐거워요.”
최근 ‘스포츠경향’과 만난 박상훈은 영화 속 ‘어린 귀수’보다 훨씬 더 앳된 얼굴이었다. 그러나 수줍은 미소 뒤엔 ‘학생 신분이니 연기와 공부 둘 다 놓칠 순 없지 않으냐’고 되묻는 당찬 구석도 있었다. 그에게서 다양한 이야기를 들어봤다.

■“권상우·리건 감독, 어린 절 엄청 챙겨줬어요”
‘신의 한수: 귀수편’은 오디션을 통해 들어갔다. 당시 리건 감독과 대화할 시간이 많았는데, 그는 자신의 모든 걸 보여주려 애썼다고 했다.
“오디션에 붙고 보니 제 분량이 정말 많더라고요. 걱정도 되고 긴장도 많이 했죠. 다행히 권상우 선배와 리건 감독이 많이 도와줬어요. 권상우 선배는 ‘네가 이 길을 오게 된 건 분명 이유가 있을 거다’라고 응원해줬고, 감독 역시 촬영 현장에서 제가 감정을 잡을 때까지 기다려줬어요. 또 제 감정을 끌어내려고 마음 써줬고요. 그 덕분에 극 중 증오, 죄책감 등을 연기할 수 있었어요.”
김성균과는 JTBC ‘언터처블’ 이후 두번째 만남이었다.
“김성균 선배는 정말 연기를 잘하잖아요? 처음 만나서 옆에 섰을 땐, 제가 한참 작아진 느낌이었죠. 그러나 이번 촬영에선 정말 ‘스승과 제자’처럼 보이려고 노력했어요. 제 긴장감을 풀어주려 선배가 많이 노력하기도 했고요. 카메라가 돌지 않을 땐 ‘아재 개그’를 하거나 장난을 치면서 화기애애하게 해줬어요.”

■“연기하는 친구에 자극 받아 시작”
연기자로서 시작은 단순했다.
“친한 친구가 TV에 잠깐 나왔어요. 그 친구의 연기를 보면서 저도 무척 하고 싶다는 생각이 들었죠. 그게 자극제였어요. TV에 나오고 싶다고 부모님을 졸라서 연기학원을 다니기 시작했죠. 처음엔 반대도 심했어요. 형이 전주 상산고를 다닐 정도로 공부를 잘해, 저 역시 공부하길 바랐거든요. 또 숫기가 없어서 오디션에 붙기나 할까란 걱정도 했다고 하더라고요.”
실제 그도 전교3등 안에 든다. 연기한다고 공부를 소홀히 할 수 없어 악착같이 병행한 결과다.
“저만의 패턴이 있어요. 촬영하면 다음 날까진 푹 쉬고, 그 다음부터 꾸준하게 공부하려고 해요. 최대한 평일에 많이 해두려고 하고요. 그럼에도 제겐 연기가 0순위예요. 공부를 못하더라도 연기를 할 것 같고, 지금보다 훨씬 성적이 잘 나와도 연기를 택할 것 같아요. TV에 나오는 내 모습이 너무 좋거든요. 하하.”
의지가 확고했다. 염두에 둔 배우로서 ‘롤모델’도 있지 않을까.
“모든 배우에게 배울 점이 많아서 딱히 한 명을 롤모델로 정하진 않았어요. 연기 잘하는 사람이 워낙 많으니, 두루두루 닮아가고 싶죠. 다만 듣고 싶은 수식어는 있어요. ‘연기 천재’요. 하하. 얼굴은 선천적인 거지만, ‘연기 천재’는 제 노력으로도 만들어 낼 수 있으니까 더 값진 수식어인 것 같아요. 제가 생각하는 연기천재요? 조정석 선배요. 연기를 정말 잘하잖아요. 저도 20대가 되면 지금보다 더 나은 배우가 될 수 있겠죠?”
원문보기:http://sports.khan.co.kr/entertainment/sk_index.html?art_id=201912091003003&sec_id=540401&pt=nv#csidxb712bb932d754538655dab2614eba47 
영화 ‘신의 한수: 귀수편’에서 놀라운 존재감을 보여준 이가 있다. 극 중 권상우의 아역을 맡았던 신예 박상훈, 더 놀라운 건 이제 겨우 15살이라는 점이다.
“연기를 선택하지 않았다면 아마 저도 다른 아이들처럼 진로를 정하지 못해서 우왕좌왕했을 거예요. 진로가 확고해지면 그런 면에서 좋은 것 같아요. 스케줄이야 빡빡해도 현장에 가면 마음이 편안해지고, 시간도 빨리 가서 즐거워요.”
최근 ‘스포츠경향’과 만난 박상훈은 영화 속 ‘어린 귀수’보다 훨씬 더 앳된 얼굴이었다. 그러나 수줍은 미소 뒤엔 ‘학생 신분이니 연기와 공부 둘 다 놓칠 순 없지 않으냐’고 되묻는 당찬 구석도 있었다. 그에게서 다양한 이야기를 들어봤다.
■“권상우·리건 감독, 어린 절 엄청 챙겨줬어요”
‘신의 한수: 귀수편’은 오디션을 통해 들어갔다. 당시 리건 감독과 대화할 시간이 많았는데, 그는 자신의 모든 걸 보여주려 애썼다고 했다.
김성균과는 JTBC ‘언터처블’ 이후 두번째 만남이었다.
“김성균 선배는 정말 연기를 잘하잖아요? 처음 만나서 옆에 섰을 땐, 제가 한참 작아진 느낌이었죠. 그러나 이번 촬영에선 정말 ‘스승과 제자’처럼 보이려고 노력했어요. 제 긴장감을 풀어주려 선배가 많이 노력하기도 했고요. 카메라가 돌지 않을 땐 ‘아재 개그’를 하거나 장난을 치면서 화기애애하게 해줬어요.”
■“연기하는 친구에 자극 받아 시작”
연기자로서 시작은 단순했다.
“친한 친구가 TV에 잠깐 나왔어요. 그 친구의 연기를 보면서 저도 무척 하고 싶다는 생각이 들었죠. 그게 자극제였어요. TV에 나오고 싶다고 부모님을 졸라서 연기학원을 다니기 시작했죠. 처음엔 반대도 심했어요. 형이 전주 상산고를 다닐 정도로 공부를 잘해, 저 역시 공부하길 바랐거든요. 또 숫기가 없어서 오디션에 붙기나 할까란 걱정도 했다고 하더라고요.”
실제 그도 전교3등 안에 든다. 연기한다고 공부를 소홀히 할 수 없어 악착같이 병행한 결과다.
“저만의 패턴이 있어요. 촬영하면 다음 날까진 푹 쉬고, 그 다음부터 꾸준하게 공부하려고 해요. 최대한 평일에 많이 해두려고 하고요. 그럼에도 제겐 연기가 0순위예요. 공부를 못하더라도 연기를 할 것 같고, 지금보다 훨씬 성적이 잘 나와도 연기를 택할 것 같아요. TV에 나오는 내 모습이 너무 좋거든요. 하하.”
의지가 확고했다. 염두에 둔 배우로서 ‘롤모델’도 있지 않을까.
“모든 배우에게 배울 점이 많아서 딱히 한 명을 롤모델로 정하진 않았어요. 연기 잘하는 사람이 워낙 많으니, 두루두루 닮아가고 싶죠. 다만 듣고 싶은 수식어는 있어요. ‘연기 천재’요. 하하. 얼굴은 선천적인 거지만, ‘연기 천재’는 제 노력으로도 만들어 낼 수 있으니까 더 값진 수식어인 것 같아요. 제가 생각하는 연기천재요? 조정석 선배요. 연기를 정말 잘하잖아요. 저도 20대가 되면 지금보다 더 나은 배우가 될 수 있겠죠?”
원문보기:http://sports.khan.co.kr/entertainment/sk_index.html?art_id=201912091003003&sec_id=540401&pt=nv#csidxb712bb932d754538655dab2614eba47